본문 바로가기
올림포스 독해의 기본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5강

by &9v: 2025. 5. 15.

15강 문장 삽입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15-A]

For people and businesses with outstanding loans, the increased cost that results can be disastrous.

 

Money loses value when inflation takes place; hence, those with large amounts of money encourage a strong government response to inflation. ( ① ) Governments respond by raising interest rates to ⓐ discourage the creation of additional money through loans. ( ② ) As other loans are paid back, with fewer people take out new loans, money ⓑ disappears from circulation, reducing the ability of people to buy things and, thereby, reducing the inflationary pressure. ( ③ ) Increased expenses and bankruptcies lead to job loss, and consequently, more people ⓒ able to pay for their homes, cars and other loans. ( ④ ) This leads to another round of defaults and subsequent contraction in the money supply. ( ⑤ ) This cure for inflation may bring as much or more hardship than the inflation, but the hardship falls on people with ⓓ little power to influence policy.

*outstanding: 미상환의, 빚을 갚지 않은

**default: 채무 불이행

① ② ③ ④ ⑤

 

{소재} 인플레이션의 영향

 

{해석}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화폐는 가치를 잃게 되므로, 많은 돈을 가진 사람들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대응을 부추긴다. 정부는 대출을 통한 추가 자금 창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인상함으로써 대응한다. 다른 대출이 상환되고, 새로운 대출을 받는 사람이 줄어들면, 돈이 유통에서 사라져, 사람들의 물건 구매 능력이 줄어들고, 그것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감소한다. 미상환 대출이 있는 개인과 기업의 경우, 결과로 생긴 늘어난 비용은 파멸을 초래할 수 있다. 늘어난 비용과 파산은 실직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집, 자동차 및 기타 대출금을 갚지 못한다. 이것은 또 한 차례의 채무 불이행과 뒤이은 통화 공급의 축소로 이어진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이러한 해결책은 인플레이션만큼 또는 그 이상의 어려움을 가져올 수도 있겠지만, 그 어려움은 정책에 영향을 미칠 힘이 거의 없는 사람들에게 돌아간다.

 

[정답/모범답안] 3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15-1]

Consumer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instance, often infer higher quality for brands perceived as foreign.

 

Knowledge about a product’s country of origin can affect the way consumers think about it. Just as we stereotype people based on where they were born, we stereotype products based on where they were ________. ( ① ) Conversely, consumers in some nations believe their country’s products are (A) [superior / inferior] to those made elsewhere. ( ② ) Japanese consumers, for example, tend to infer that made-inJapan products are higher quality than made-in-America products. ( ③ ) Therefore, a luggage company markets its pricier luggage in Japan by stressing that the products are designed and made in Japan. ( ④ )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make inferences about a brand based on its country of origin when they are unmotivated to process brand information or when their processing goal guides attention towards origin information. ( ⑤ ) If consumers (B) [like / dislike] a country’s political or social policies, they may respond negatively to its products

 

① ② ③ ④ ⑤

 

{소재} 제품 원산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해석}

제품의 원산지에 대한 지식은 소비자가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마치 우리가 사람들을 태어난 곳에 근거해서 고정 관념적으로 파악하는 것과 똑같이, 우리는 제품도 그것이 만들어진 곳에 근거해서 고정 관념적으로 파악한다. 예를 들어 개발도상국의 소비자들은 흔히 외국산으로 인식되는 브랜드에 대해 더 높은 품질을 추단한다. 반대로 일부 국가의 소비자들은 자국 제품이 다른 곳에서 만들어진 제품보다 더 우수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일본 소비자들은 일본산 제품이 미국산 제품보다 품질이 더 높다고 추단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한 여행 가방 회사는 제품이 일본에서 디자인되고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일본에서 더 비싼 여행 가방을 시장에 내놓는다. 소비자는 브랜드 정보를 처리할 동기가 없거나 자신의 처리 목표가 원산지 정보에 대해 주목하도록 이끌 때, 원산지에 근거해서 브랜드에 대해 추단할 가능성이 더 높다. 소비자가 한 국가의 정치적 또는 사회적 정책을 싫어한다면, 그 국가의 제품에 대해 부정적으로 반응할 수도 있다.

 

[정답/모범답안] 1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15-2]

With the busyness of workplaces these days, trying to achieve a benchmark of 110% perfect on everything can be a recipe for burnout.

 

Many people excuse perfectionism at work by claiming it is professionalis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s useful. ( ① ) Managing perfectionism does not mean dropping critical standards. ( ② ) It becomes a problem when your personal expectations become unmanageable, self-imposed demands that create more pressure than is needed. ( ③ ) It is not permission for work sloppiness or low standards; rather it means spending less time on tasks that do not need the level of input you are providing. ( ④ ) What are the acceptable standards of professionalism in your work and how do these compare with your own? ( ⑤ ) If you are a manager expecting this of others, you may be setting yourself up for [success / failure].

*sloppiness: 대충 함

① ② ③ ④ ⑤

 

{소재} 전문성과 완벽주의의 구별

 

{해석}

많은 사람이 완벽주의를 전문성이라고 주장하며 직장에서의 그것(완벽주의)에 대한 구실을 댄다. 이 둘을 구분하는 것은 유용하다. 완벽주의를 관리한다는 것은 중대한 기준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러분의 개인적인 기대치가 필요 이상의 압박을 만들어 내는, 제어하기 어려운 스스로 부과한 요구가 될 때, 그것은 문제가 된다. 그것은 일을 대충 하는 것이나 낮은 기준을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여러분이 제공하고 있는 투입의 수준이 필요하지 않은 업무에는 시간을 보다 적게 쓰는 것을 의미한다. 여러분의 업무에서 허용되는 전문성의 기준은 무엇이며, 이것은 여러분의 기준과 어떻게 비교되는가? 요즘 직장에서의 바쁨 속에서는 모든 일에서 110% 완벽이라는 기준을 달성하고자 노력하는 것은 번아웃(극도의 피로)으로 가는 길일 수 있다. 만약 여러분이 다른 사람들에게 이것을 기대하는 관리자라면, 실패를 자초하고 있을 수 있다.

 

[정답/모범답안] 5

 

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곳은? [15-3]

Subsequent excesses are then converted to fat and stored.

 

Carbohydrates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energy in a balanced daily diet. Carbohydrate intake must be balanced with adequate amounts of protein, fat, and water intake. In athletes, carbohydrates are the primary fuel source to maintain blood glucose for energy during exercise. ( ① ) Adequate carbohydrate intake also helps spare muscle from catabolic activity and muscle breakdown. ( ② ) After carbohydrates are consumed, they are broken down into smaller sugars that get absorbed and used as energy. ( ③ ) The body is capable of storing excess carbohydrates in the form of glycogen in the muscles and liver. ( ④ ) The body’s glycogen capacity is approximately 300 to 400 grams. ( ⑤ ) Conversely, in the setting of inadequate intake, an energy imbalance can result in adverse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overall health.

*carbohydrate: 탄수화물

**catabolic: 이화(異化)작용(에너지 생성 및 분자 분해 과정)의

① ② ③ ④ ⑤

 

{소재} 탄수화물 섭취

 

{해석}

탄수화물은 균형 잡힌 일일 식단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탄수화물 섭취는 적절한 양의 단백질, 지방, 수분 섭취와 함께 균형이 맞추어져야 한다. 운동선수에게 있어, 탄수화물은 운동 중 에너지를 위한 혈당을 유지하는 데 있어 주요 연료 공급원이다. 또한 적절한 탄수화물 섭취는 근육이 이화(異化) 작용과 근육 분해를 겪지 않도록 도와준다. 탄수화물이 섭취된 후, 그것은 흡수되어 에너지로 사용되는 더 작은 당분으로 분해된다. 인체는 잉여 탄수화물을 근육과 간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인체의 글리코겐 수용량은 대략 300~400그램이다. 그 이후의 잉여량은 지방으로 전환되어 저장된다. 반대로, 불충분한 섭취 환경에서는, 에너지 불균형이 전반적인 건강뿐만 아니라 운동 능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초래할수 있다.

 

[정답/모범답안] 5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3강

3강 주장∙요지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A]It has been said that most people listen with the intention to reply rather than to understand. Your job as a mentor is to facilitate your mentee’s thinking

studyvitamin.com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5강

5강 주제∙의미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5-A]Supertasters and nontasters respond similarly to many foods, but supertasters are more sensitive to certain sweet and bitter substances. These (A) [similarities / differences] in tas

studyvitamin.com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0강

10강 단어 빈칸 추론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0-A]Many developmental theorists and researchers, including those studying human as well as nonhuman primate subjects, have recognized the role that ________ can play in

studyvita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