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강 주장∙요지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A]
It has been said that most people listen with the intention to reply rather than to understand. Your job as a mentor is to facilitate your mentee’s thinking and not to try and do it for them, no matter how tempting that may be. If, during a mentoring session, you realise you’re doing most of the talking, then I’d respectfully suggest that you just stop, sit back and listen. A good part of the mentee’s learning process ⓐ happening when he/she thinks out loud. The rest of it happens by reflection and practice outside mentoring sessions. Therefore, your mentee should be doing most of the talking. Listening actively and empathically ⓑ help mentees to gain insight and to express themselves more effectively. For your mentee to have a sense of being heard and of feeling acknowledged, (that / well / it / essential / listen / is / you).
* mentee: 멘티(멘토로부터 상담·조언을 받는 사람)
① 멘토는 멘티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지나친 간섭을 피해야 한다.
② 멘티는 멘토의 피드백을 겸허히 수용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③ 멘티는 멘토의 조언을 듣고 자기 생각을 진솔하게 표현해야 한다.
④ 멘토는 멘티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조언을 해야 한다.
⑤ 멘토는 멘티의 사고 과정을 촉진하도록 멘티의 말을 경청해야 한다.
{소재} 멘티를 대하는 멘토의 자세
{해석} 대부분 사람은 이해하려는 의도보다는 답변하려는 의도로 듣는다는 말이 있어 왔다. 멘토로서 여러분의 역할은 여러분의 멘티의 사고를 촉진하는 것이지 아무리 솔깃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멘티를 대신해서 그것을 해 주려고 애쓰는 것이 아니다. 만약 멘토링 시간 중에 여러분이 말 대부분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그냥 멈추고 가만히 있으면서 (멘티가 하는 말을) 듣기를 정중히 제안한다. 멘티의 학습 과정의 상당 부분은 멘티가 생각을 입 밖에 내어 말할 때 발생한다. 나머지는 멘토링 시간 밖에서의 성찰과 실천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여러분의 멘티가 대부분의 말을 해야 한다. 적극적이고 공감하면서 경청하는 것은 멘티가 통찰을 얻고 자신을 더 효과적으로 표현하도록 돕는다. 여러분의 멘티가 경청되고 인정받는다고 느끼려면, 여러분이 잘 들어 주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
[정답/모범답안] 5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3-1]
The expert myth is the belief that the more you know, the more creative you become. At the face of it, this seems quite (A) [logical / irrational]. The rationale is that in order to be truly creative, one must master a field or a domain. Creativity often requires some level of expertise, but expertise and creativity are nonetheless very different things. Someone can know a great deal about something and yet show little creativity in that domain. However, research into the lives of creative people shows that in some cases “expertise can actually (B) [cultivate / hinder] creative ability of individuals. ... As expertise grows, creativity sometimes diminishes. Sometimes the best insights come from those outside a particular field,...” There is good reason for this. When we are too heavily invested in a task, we may tend to overlook the obvious.
① 한 분야의 전문성이 그 분야에서의 창의력 발휘를 보장하지는 않는다.
② 다수의 평범한 생각이 누적되면 창의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다.
③ 창의력은 전문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후천적으로 계발될 수 있다.
④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 의견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⑤ 무엇이 창의적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분야마다 다를 수 있다.
{소재} 전문성과 창의력의 관계
{해석} ‘전문가 신화’는 더 많이 알수록 더욱더 창의적으로 된다는 믿음이다. 표면적으로는 이것이 꽤 논리적으로 보인다. 그 근거는 진정으로 창의적으로 되려면 어떤 한 분야나 영역에 숙달해야 한다는 것 이다. 창의력은 흔히 어느 정도의 전문성을 요구하지만, 그래도 전문성과 창의력은 매우 다른 것이다. 어떤 사람은 어떤 것에 대해 많이 알 수 있지만, 그 영역에서 창의력을 거의 보이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창의적인 사람들의 삶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경우에는 “전문성이 실제로 사람들의 창의력을 저해할 수 있다. … 전문성이 커짐에 따라 창의력은 때때로 줄어든다. 때때로 최고의 통찰은 해당 분야 밖에 있는 사람들에게서 나온다,…”라는 것을 보여 준다. 이것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우리가 어떤 한 과업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쏟으면 명백한 것을 간과하기 쉬울 수도 있을 것이다
[정답/모범답안] 1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2]
Just as you don’t know everything in advance about a trip you are going to take, ⓐ neither can you know everything about how your new life or career might unfold. But that’s fine. You just have to treat it like doing a jigsaw: accept that the full picture is going to emerge ⓑ gradually rather than instantly. While sometimes it will be straightforward ⓒ to fit pieces together, at other times it will take more effort and patience. Sometimes you will find interesting pieces that ⓓ opening up a whole new section, and at other times you may find pieces that don’t seem to belong anywhere right now. You just need to keep at it until the picture emerges and you can see clearly ⓔ what you have achieved.
* jigsaw: 조각 그림 맞추기
① 과거의 뼈아픈 실패를 성공의 밑거름으로 활용해야 한다.
② 여러 가능성을 고려하여 미래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③ 진로가 명확하게 나타날 때까지 인내심을 가지고 탐색해야 한다.
④ 자신의 적성을 빨리 찾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야 한다.
⑤ 계획은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실현 가능하게 세워야 한다.
{소재} 진로 탐색 노력
{해석}
여러분이 떠날 여행에 대해 모든 것을 미리 알 수 없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여러분의 새로운 삶이나 진로가 어떻게 펼쳐질지에 대해서도 모든 것을 알 수는 없다. 하지만 괜찮다. 여러분은 그것을 조각 그림 맞추기를 하듯 그것을 다루기만 하면 되는데, 전체 그림이 즉각적이 아니라 서서히 나타날 거라는 사실을 받아들여라. 때로는 조각을 맞추는 것이 간단한 반면에, 또 어떤 때에는 더 많은 노력과 인내가 필요할 것이다. 때로는 완전히 새로운 부분을 여는 흥미로운 조각을 발견할 수도 있고, 또 어떤 때에는 당장은 아무 곳에도 속하지 않는 것 같은 조각을 발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러분은 그림이 나타날때까지 그저 그것을 계속할 필요가 있고, 그러면 자신이 달성한 것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정답/모범답안] 3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3-3]
We don’t choose our earliest habits, we imitate them. We follow the script handed down by our friends and family, our church or school, our local community and society at large. Each of these cultures and groups comes with its own set of expectations and standards ― when and whether to get married, how many children to have, which holidays to celebrate, how much money to spend on your child’s birthday party. In many ways, these social norms are the invisible rules that guide your behavior each day. You’re always keeping them in mind, even if they are not at the top of your mind. Often, you follow the habits of your culture without thinking, without questioning, and sometimes without remembering. As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de Montaigne wrote, “The customs and practices of life in society sweep us along.”
① 사회적 관습은 우리의 습관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② 사회적 기대보다 개인 목표의 성취를 우선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구성원의 개인적 습관이 축적되어 그 공동체의 문화를 형성한다.
④ 모방은 사회의 지식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다.
⑤ 사회적 관습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소재} 사회적 관습이 우리의 습관에 미치는 막대한 영향
{해석}
우리는 우리의 초기 습관을 선택하지 않으며, 그것을 모방한다. 우리는 친구와 가족, 교회나 학교, 지역 사회와 사회 전반에 의해 물려받는 각본을 따른다. 이러한 각 문화와 집단에는 언제 결혼할지와 결혼할 것인지, 얼마나 많은 자녀를 가질지, 어떤 명절을 축하할지, 자녀의 생일 파티에 얼마를 지출할지의 그 자체의 기대와 기준이 있다. 여러 면에서 이러한 사회적 규범은 매일 여러분의 행동을 이끄는 보이지 않는 규칙이다. 그것이 여러분의 마음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아니더라도, 여러분은 그것을 항상 마음속에 두고 있다. 자주 여러분은 아무 생각 없이, 의심 없이, 때로는 기억하지 못한 채 여러분 문화의 관습을 따른다. 프랑스 철학자 Michel de Montaigne이 썼듯이, “사회에서 삶의 관습과 관행은 우리의 정신을 온통 빼앗는다.”
[정답/모범답안] 1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2강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2강
2강 심경(변화)∙분위기다음 글에 드러난 Lina Caruso의 심경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A]Outside, in the streets of Rome, crowds had quickly gathered and were shouting. The war was over! Peace had returned! Lina Caruso and her m
studyvitamin.com
'올림포스 독해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7강 (0) | 2025.04.30 |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5강 (0) | 2025.04.29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4강 (0) | 2025.04.29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2강 (0) | 2025.04.29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강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