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올림포스 독해의 기본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9강

by &9v: 2025. 4. 30.

9강 어휘 적절성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9-A]

If you were a ① high performer in your work before becoming a manager, you may find the journey into management particularly (A) [difficult / difficultly]. Because of their previous success, stars are understandably reluctant to give up the attitudes and practices they think produced their success thus far, and they’re ② unwilling to change themselves. They don’t know how to develop or coach people because they never needed much coaching themselves, or so they believe. They don’t know how to deal with people who lack their motivation. Because they’ve never failed, they’ve had ③ little practice reflecting on and learning from experience. No wonder many former stars turn into ④ great bosses. If you were a star, (B) [be / being] aware that the very ⑤ success that produced your promotion can now work against you.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승진 전 높은 성과를 낸 관리자의 문제점

 

{해석}

만약 여러분이 관리자가 되기 전에 여러분의 직무에서 높은 성과를 낸 사람이었다면, 관리직으로의 여정이 특히 어렵다고 느낄 수도 있다. 이전의 성공 때문에, 최고의 직원들은 자신이 생각하기에 지금까지 자신의 성공을 만들어 낸 태도와 관행을 포기하는 것을 당연히 꺼리고, 자신을 변화시키려 하지 않는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지도를 많이 필요로 한 적이 결코 없었거나 그렇다고 믿기 때문에, 사람들을 어떻게 성장시키고 지도해야 하는지 모른다. 그들은 동기가 부족한 사람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모른다. 그들은 실패한 적이 한번도 없어서, 경험을 성찰하고 경험을 통해 배우는 연습을 한 적이 거의 없다. 이전에는 최고의 직원이었던 많은 사람들이 훌륭한(→ 그다지 훌륭하지 않은) 상사가 되는 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 만약 여러분이 최고의 직원이었다면, 여러분의 승진을 가져온 바로 그 성공이 이제 여러분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라.

 

[정답/모범답안]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9-1]

Action takes place by choosing which ends shall be satisfied by the employment of means. Time is scarce for man only (A) [because / because of] whichever ends he chooses to satisfy, there are others that must remain ① unsatisfied. When we must use a means so that some ends remain unsatisfied, the necessity for a choice among ends ② arises. For example, Jones is engaged in watching a baseball game on television. He is faced with the choice of spending the next hour in: (a) ③ continuing to watch the baseball game, (b) playing bridge, or (c) going for a drive. He would like to do all three of these things, but his means (time) is ④ sufficient. As a result, he must choose ; one end can be satisfied, but the others must go unfulfilled. (B) [Suppose / Supposing] that he decides on course A. This is a clear indication that he has ranked the satisfaction of end A ⑤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f ends B or C.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우선순위에 따른 목적 선택

 

{해석}

행동은 수단을 사용하여 어떤 목적을 충족시킬 것인가를 ‘선택함’으로써 일어난다. 인간에게 시간이 ‘부족한’ 이유는 어떤 목적을 충족시키기로 선택하든, 충족되지 않은 채로 남아야 하는 다른 것이 존재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어떤 목적이 충족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도록 수단을 사용해야 할 때, ‘목적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할 필요성이 생긴다. 예를 들어, Jones는 텔레비전으로 야구 경기를 시청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 한 시간을 쓰는 데, (a) 야구 경기를 계속 시청할지, (b) 브리지 게임을 할지, 아니면 (c) 드라이브를 하러 갈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다. 그는 이 세 가지를 모두 하고 싶지만, 그의 수단(시간)이 충분(→ 불충분)하다. 결과적으로, 그는 ‘선택해야’ 하는데, 하나의 목적은 충족될 수 있지만, 나머지 목적은 충족되지 않은 채로 있어야 한다. 그가 경로 A로 결정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것은 그가 목적 A의 충족 순위를 목적 B 혹은 C의 충족보다 더 높게 ‘매겼’음을 분명히 보여 준다.

 

[정답/모범답안]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9-2]

Environmental stresses cause changes in the genetic makeup of a population by favoring certain gene variants more than others. This is, in fact, the ① normal way that populations can adapt rapidly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without mutations being required to produce new adaptations. It is also the reason why populations with genetic ② diversity are more likely to survive in the face of change. However, there is another side of this phenomenon related to human impacts on populations. Toxins added to the environment create selection pressure for individuals that are more ③ tolerant of the toxins. One negative impact of this is that it can ④ reduce the genetic diversity of a population. Another problem occurs if the organism is a pest and the toxin is contained in, for example, a pesticide.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pressure, the population seems to ⑤ lose tolerance to the toxin. The pesticide then becomes less effective.

* mutation: 돌연변이

** toxin: 독소

*** pesticide: 살충제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환경 스트레스로 인한 유전자 구성 변화

 

{해석}

환경 스트레스는 특정 유전자 변이형을 다른 것보다 더 선호함으로써 개체군의 유전자 구성에 변화를 일으킨다. 이는 사실 돌연변이가 새로운 적응 형태를 만들어 내야 할 필요 없이 개체군이 자신들의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방식이다. 그것은 유전적 다양성을 가진 개체군이 변화에 직면했을 때 생존할 가능성이 더 높은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개체군에 대한 인간의 영향과 관련된 이 현상의 또 다른 측면이 있다. 환경에 더해지는 독소는 그 독소에 더 내성이 강한 개체를 선택하라는 압력을 만들어 낸다. 이것의 부정적인 영향 한 가지는 그것이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생물체가 해충이고 독소가 예를 들어 살충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발생한다. 선택 압력의 결과로 그 개체군은 그 독소에 대한 내성을 잃는(→ 갖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면 그 살충제는 효과가 떨어진다.

 

[정답/모범답안] 5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문맥에 맞는 낱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9-3]

People’s happiness depends not on their absolute wealth, but rather on their wealth relative to those around them. In one experiment, two capuchin monkeys were initially perfectly (A) [content / dissatisfied] with a reward of cucumbers when they successfully performed a task. But when one monkey was later given tastier grapes as a reward, the monkey ⓐ receive plain old cucumbers became enraged, angrily throwing the previously satisfactory salad vegetable at its handler. The monkeys’ economy had grown, since grapes are better than cucumbers. But the resulting (B) [fairness / inequality] brought only discontent. Humans are the same. When employee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were ⓑ give information about the salaries of their peers, those discovering they were paid below the average suddenly became (C) [less / more] satisfied and more likely to seek a new job. The attitudes of those ⓒ earn above the average were happily unaffected.

 

(A) …… (B) …… (C)

① content …… fairness …… less

② content …… inequality …… less

③ content …… fairness …… more

④ dissatisfied …… fairness …… more

⑤ dissatisfied …… inepuality …… less

 

{소재} 행복의 기준이 되는 상대적인 부

 

{해석}

사람들의 행복은 그들의 절대적인 부가 아니라 오히려 그들 주변 사람들에 상대적인 그들의 부에 달려 있다. 한 실험에서 두 마리의 카푸친 원숭이는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오이라는 보상에 처음에는 완벽하게 만족했다. 그러나 한 원숭이에게 나중에 더 맛있는 포도가 보상으로 주어지자, 평범한 이전의 오이를 받은 원숭이는 격분하였고 이전에는 만족스러웠던 샐러드 채소를 화를 내며 조련사에게 던졌다. 포도가 오이보다 더 좋으므로 원숭이들의 경제는 커졌다. 하지만 그 결과로 초래된 불평등은 불만만 가져왔다. 인간도 마찬가지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직원들에게 동료들의 급여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었을 때, 자신이 평균보다 적게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직원들은 갑자기 덜 만족스러워지고 새로운 일자리를 구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 평균보다 더 많이 받는 직원들의 태도는 다행히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정답/모범답안] 3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8강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8강

8강 어법 정확성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A]Knowledge, for science, aims to be proven knowledge, justified by evidence and reason. Nothing ① is accepted as true unless it has been proved to be so , or there are

studyvita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