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강 짧은 어구 빈칸 추론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A]
Observation studies of teenagers using social media have discovered one peculiar behaviour in particular that sets them apart ― teenagers will post or share something on social media, but then they’ll monitor the post to gauge the volume of reactions. After a set amount of time, if the number of resulting ‘Likes’ and ‘Shares’ ⓐ are too low, they’ll delete the content. Sometimes within the first ten minutes! ⓑ Its aim of posting is to earn recognition for what they’re sharing as a way to self-enhance. If the recognition is insufficient, they’d rather delete the content than suffer perceived judgement from others against their failed efforts to self-enhance. ________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self-esteem.
*peculiar: 독특한
① Not getting a reaction
② Rarely being challenged
③ Deleting their online posts
④ Facing unrealistic expectations
⑤ Taking credit for work they didn’t do
{소재}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십 대의 행동
{해석}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십 대들을 관찰한 연구는 그들을 특별히 구별 짓는 독특한 행동 하나를 발견했다. 십 대들은 소셜 미디어에 무언가를 게시하거나 공유한 다음, 반응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게시물을 추적 관찰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좋아요’ 및 ‘공유’ 수가 너무 적으면 그들은 콘텐츠를 삭제한다. 때로는 첫 10분 이내에 삭제하기도 한다! 그들의 게시 목표는 자신을 고양 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공유하고 있는 것에 대한 인정을 받는 것이다. 만약 인정이 불충분하다면, 그들은 자신을 고양하려는 노력의 실패에 대한 인지되는 타인의 비판을 겪을 바에야 차라리 콘텐츠를 삭제한다. 반응을 얻지 못하는 것은 그들의 자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정답/모범답안]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1]
The reason pessimists often sound smart is that they can avoid being ‘wrong’ by ________. When a doomer predicts that the world will end in five years, and it (A) isn’t / doesn’t , they just shift the date. The American biologist Paul R. Ehrlich ― author of the 1968 book The Population Bomb ― (B) have / has been doing this for decades. In 1970 he said that ‘sometime in the next 15 years, the end will come. And by “the end” I mean an utter breakdown of the capacity of the planet to support humanity.’ Of course, that was terribly wrong. He had another go: he said that ‘England will not exist in the year 2000.’ Wrong again. Ehrlich will keep pushing this deadline back. A pessimistic stance is a safe one.
*pessimist: 비관론자
**doomer: 운명론자
① reading trouble signs
② moving the goalposts
③ listening to the objections
④ attracting many supporters
⑤ refusing to make predictions
{소재} 비관론자의 문제
{해석}
비관론자들이 종종 현명하게 ‘들리는’ 이유는 골대를 옮김으로 써 ‘틀림’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운명론자가 5년 내에 세상이 끝날 것이라고 예측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들은 그저 날짜를 바꾼다. 1968년 저서 The Population Bomb의 저자인 미국의 생물학자 Paul R. Ehrlich는 수십 년 동안 이렇게 해 오고 있다. 1970년에 그는 ‘앞으로 15년 내에 언젠가, 종말이 올 것이다. 그리고 나는 ‘종말’이란 인류를 지탱할 수 있는 지구 능력의 완전한 붕괴를 의미한다‘라고 말했다. 물론 그것은 정말 틀렸다. 그는 다시 한 번 했는데, ‘영국은 2000년에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틀렸다. Ehrlich는 이 시한을 계속 뒤로 미룰 것이다. 비관적 자세는 안전한 것이다.
[정답/모범답안]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2]
We all understand differently ― this much is obvious. The reason we understand differently is that ________. Our experiences simply are not yours. In order to understand anything, we must find the closest item in memory to which it relates. Schank and Abelson claimed that understanding required one to find the correct knowledge structure, and (A) [using / to use] that structure to create expectations for what events were likely to take place, so that new events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what was normal. Thus, when a story about a cocktail party was being told, an understander brought out his cocktail party script which told him about (B) [what / that] ordinarily happens at cocktail parties, and he used that script to guide his understanding of the story he was about to hear.
① our memories are different
② we have different purposes
③ we can make cognitive errors
④ others convince us of their intentions
⑤ brains work differently across situations
[소재]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이해
{해석}
우리는 모두 다르게 이해하는데, 이 점만큼은 명백하다. 우리가 다르게 이해하는 이유는 우리의 기억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험은 절대로 여러분의 경험이 아니다. 어떤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기억에서 그것과 관련된 가장 가까운 항목을 찾아야 한다. Schank와 Abelson은, 이해는 한 사람에게 올바른 지식 구조를 찾고, 그 구조를 사용하여 어떤 사건이 일어날지에 대한 예측을 하도록 요구하며, 그럼으로써 새로운 사건이 일반적인 것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칵테일파티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때, 이해자는 칵테일파티에서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것에 대해 그에게 말해 주는 칵테일파티 대본을 끌어내서, 그가 막 들으려 하는 이야기의 이해를 안내하도록 그 대본을 사용했다.
[정답/모범답안]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3]
Of all the colours of the rainbow the one that makes the greatest impact on the eye is red. There is something instantly arresting about the colour of fire and danger. It ischarged with alarm and urgency. We have red fire engines, red warning lights and the Red Cross. If we want something to (A) [see / be seen] from a distance, such as a post box or (formerly) a telephone kiosk, we paint it red. Perhaps it is because red is so obvious that (B) [few / little] wild animals are truly red: even the so-called Red Squirrel and the Red Deer are really shades of reddish-brown that ________. Relatively few butterflies are red either. In Britain, and indeed, in all mainland Europe, only one species has a pattern of full-on bright red, like a splash of blood: the Red Admiral.
① conceal rather than advertise
② highlight noticeable characteristics
③ keep them from masking their locations
④ alert other species that they are poisonous
⑤ express genetic weakness instead of strength
{소재} 붉은색과 야생 동물
{해석}
무지개의 모든 색 중에서 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붉은색이다. 불과 위험의 색에 관한 즉각적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무언가가 있다. 그것은 경고와 긴급함으로 가득 차 있다. 우리에게는 붉은색 소방차, 붉은색 경고등, 적십자가 있다. 만일 우리가 우체통이나 (이전에) 공중전화 박스와 같이, 무언가를 멀리서도 보이게 하길 원한다면, 우리는 그것을 붉은색으로 칠한다. 야생 동물 중에 정말로 붉은 동물이 거의 없는 것은 아마도 붉은색이 너무 눈에 띄기 때문일 것인데, 심지어 이른바 북방청서나 붉은사슴도 실제로는 드러내 보이기보다는 숨기는 적갈색의 음영이다. 붉은색의 나비도 비교적 거의 없는 편이다. 영국, 그리고 실제로, 모든 유럽 대륙에서, 단 하나의 종만이 핏방울처럼, 완전한 밝은 붉은색의 패턴을 지니고 있는데, 붉은제독 나비이다.
[정답/모범답안] 1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0강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0강
10강 단어 빈칸 추론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0-A]Many developmental theorists and researchers, including those studying human as well as nonhuman primate subjects, have recognized the role that ________ can play in
studyvitamin.com
'올림포스 독해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2강 (0) | 2025.04.30 |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0강 (0) | 2025.04.30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9강 (0) | 2025.04.30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8강 (0) | 2025.04.30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7강 (0)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