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강 어법 정확성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A]
Knowledge, for science, aims to be proven knowledge, justified by evidence and reason. Nothing ① is accepted as true unless it has been proved to be so , or there are good reasons to believe that it will be at some point in the future. This reflects the philosophical quest for certainty that ② goes back to Rene Descartes, who refused to accept anything that he could not know for certain to be true. He hoped ③ to base all knowledge on self-evident propositions, and thought that reason should take priority over observation. Descartes was aware that his senses ④ frequently misled him. The implication of this ― a view which had a long history, prior to the rise of science ― was ⑤ what, if the evidence of our senses did not conform to reason, it was likely that they were in error.
* proposition: 명제
** implication: 의미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과학적 지식의 목표
{해석}
과학에서 지식은 증명된 지식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이는 증거와 이성에 의해 정당화된다. 어떤 것도 그것이 그럴 것이라고(진실이라고) 증명되지 않았거나, 미래의 어느 시점에 그럴 것이라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지 않은 한, 진실이라고 인정되지 않는다. 이는 René Descartes로 거슬러 올라가는 확실성에 관한 철학적 추구를 반영하는데, 그는 자신이 진실이라고 확실하게 알 수 없는 어떤 것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그는 모든 지식을 자명한 명제에 기반하기를 희망했고, 이성이 관찰에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Descartes는 감각이 자주 자신을 오도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과학이 발달하기 이전부터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견해인 이것의 의미는 감각의 증거가 이성과 일치하지 않으면, 그것들은 오류에 빠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정답/모범답안] 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1]
Many of the ancient urban centers obtained their food supply from intensive irrigated agriculture in the region ① where they were located, and it is usually suggested that this is because labor productivity is particularly high with irrigated agriculture. It seems more relevant to point out ② that this type of primitive subsistence system has a particularly high output per unit of land. The high demand for labor per unit of land and the high output per unit of land ③ making it necessary and possible for a large number of families to live within a small area. Therefore, even if the surplus per family is small, the total surplus ④ available within a fairly small distance from the town will be small / large . In addition, the irrigation canals, or the river ⑤ used for irrigation, can be used for boat transport of food to the town.
* irrigate: 관개하다, 물을 대다
** subsistence: 생존
*** irrigation canal: 용수로(경작지로 물을 보내는 통로)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고대 도시 중심지의 집약적인 관개 농업
{해석}
고대의 많은 도시 중심지는 그것이 위치한 지역에서 집약적인 관개 농업을 통해 식량을 공급받았는데, 일반적으로 이는 관개 농업의 노동 생산성이 특히 높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유형의 원시적 생존 체계는 단위 토지당 생산량이 특히 높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단위 토지당 높은 노동력 수요와 단위 토지당 높은 생산량은 많은 수의 가구가 좁은 지역 안에 사는 것을 필요하고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가구당 잉여물이 적더라도 마을에서 상당히 짧은 거리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총 잉여물은 많을 것이다. 게다가 용수로, 즉 관개에 사용되는 강은 배로 식량을 마을까지 옮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정답/모범답안]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2]
We have vast forests in this country but not enough to provide all of the wood, all of the wilderness, and all of the accessible recreation that we want. As soon as we log trees, build roads, or ① improve trails and campsites, we lose some wilderness. Similarly, we have large amounts of fresh water, but if we use water to grow rice in California, the water ② consumed cannot be used for drinking water in California cities. If we use fire to help a forest renew ③ itself, we will have air pollution downwind while the fire burns. We have many goals, so we have to make choices about ④ how to allocate our limited resources. The cost of those choices is ⑤ that we give up ― the cost of opportunities lost.
* downwind: 바람을 타고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제한된 자원의 활용
{해석}
이 나라에는 방대한 숲이 있지만, 우리가 원하는 모든 목재, 모든 야생의 자연, 모든 이용할 수 있는 휴양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가 나무를 벌목하거나, 도로를 건설하거나, 등산로와 야영장을 개선하는 순간, 우리는 얼마간의 야생의 자연을 잃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많은 양의 담수가 있지만, 우리가 캘리포니아주에 서 벼를 재배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면, 소비된 물은 캘리포니아주 도시에서 식수로 사용될 수 없다. 숲이 스스로를 새롭게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우리가 불을 사용한다면, 불이 타는 동안 바람을 타고 대기 오염이 발생하게 할 것이다. 우리는 많은 목표를 가지고 있으므로, 우리는 우리의 제한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할지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의 대가는 우리가 포기하는 것, 즉 상실된 기회의 비용이다.
[정답/모범답안] 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8-3]
Not all innovations that improve human living standards show up in revenue and profits. Some instead accrue directly to consumers. Many of the product improvements brought about by technology ① have the paradoxical effect of reducing industry revenue. To see why, suppose people used to pay $1 ② to download a song. Then some change comes along so that people can listen to the song while ③ paying only a quarter of what they used to pay.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number of people purchasing the song, revenue will fall by 75 percent. Even if the number of people buying a song doubles with the lower price, revenue will still fall by 50 percent. But people, ④ which we mean society as a whole, will be much better off. The point is that revenue reduction, and an accompanying failure to raise GDP, is not by itself evidence ⑤ that society is worse off.
* revenue: 수입
** accrue to: ~에게 생기다
①번 ②번 ③번 ④번 ⑤번
{소재} 혁신과 산업 수입의 관계
{해석}
인간의 생활 수준을 향상하는 모든 혁신이 수입과 수익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수입과 수익은 대신에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생긴다. 기술에 의해 초래된 많은 제품의 개선은 산업 수입을 감소 시키는 역설적 효과를 가진다. 그 이유를 알려면 사람들이 어떤 노래를 다운로드하기 위해 1달러를 냈다고 가정해 보라. 그런 다음 어떤 변화가 생겨서 사람들은 예전에 냈던 금액의 4분의 1만 내면서 그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 노래를 구매하는 사람들의 수에 변화가 없다면, 수입은 75퍼센트 감소할 것이다. 더 낮은 가격으로 인해 노래를 구매하는 사람들의 수가 두 배가 되더라도, 수입은 여전히 50퍼센트 감소할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우리가 그것으로 사회 전체를 의미하는데, 형편이 훨씬 더 나아질 것이다. 요점은 수입 감소와 이에 수반하는 GDP(국내 총생산) 증가 실패가 그 자체로 사회의 형편이 더 나빠진다는 증거는 아니라는 것이다.
[정답/모범답안] 4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7강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7강
7강 학술문 내용 불일치Berthe Morisot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7-A]Berthe Morisot was born in Bourges, France, on January 14, 1841. She was the youngest of three daughters of an upper-middle-class family. Moris
studyvitamin.com
'올림포스 독해의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10강 (0) | 2025.04.30 |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9강 (0) | 2025.04.30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7강 (0) | 2025.04.30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5강 (0) | 2025.04.29 |
EBS 올림포스 영어독해 기본1 (2022 개정) 4강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