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대한민국 전력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났습니다. 바로 원자력 발전이 전체 전력 거래량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최대 발전원으로 다시 떠오른 것입니다. 이는 2009년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이며, 2006년 이후 18년 만에 최대 발전원으로 복귀한 놀라운 결과입니다.
원자력 발전, 어떻게 최대 발전원으로 복귀했나?
9일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전력 거래량 54만9387GWh 중 원자력 발전이 생산한 전기의 비중은 32.5%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액화천연가스(LNG) 29.8%, 석탄 29.4%, 신재생에너지 6.9%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입니다.
원자력 발전 비중 증가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 원전 이용률 증가: 2024년 원전 이용률은 83.8%로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2018년 65.9%까지 떨어졌던 원전 이용률이 크게 회복된 것입니다. 이는 원전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효율적인 운영 시스템을 구축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 가동 원전 수 증가: 2024년 4월 신한울 2호기가 상업 운전을 시작하면서 국내 가동 원전은 총 26기로 늘었습니다. 이는 원자력 발전량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정부의 원자력 발전 정책: 탈원전 정책에서 벗어나 원자력 발전을 에너지 믹스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정부의 정책 변화 또한 원자력 발전 비중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원자력 발전, 앞으로도 성장할까?
2025년 1월 원자력 전력 거래량은 1만7015GWh로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원전 2기를 추가로 건설하는 계획을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무탄소 에너지 전체 비용을 낮추기 위해 발전 단가가 비싼 신재생에너지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원전 비중을 가져가야 한다"며 "에너지저장장치(ESS)와 LNG 발전을 원전과 함께 에너지 믹스 정책의 3대 축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원자력 발전, 논란과 과제
원자력 발전 비중 확대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탄소 배출량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안전성 문제와 핵폐기물 처리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습니다.
원자력 발전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루고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앞으로 원자력 발전이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제입니다.
2026년, 세계 경제의 거대한 파도가 몰려온다: 로치 교수의 경고
2026년, 세계 경제의 거대한 파도가 몰려온다: 로치 교수의 경고
"2026년, 세계 경제는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정확히 예측했던 스티븐 로치 예일대 교수의 충격적인 경고가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
studyvitamin.com